보길도 낙서재(樂書齋) 곡수당(曲水堂) 둘러보기
윤선도 원림에서 10분 정도 걸려서 윤선도가 글을 쓰며 지냈던 낙서재(樂書齋)에 도착했다.
마을 가운데 주차장이 마련돼있었다.
▲낙서재(樂書齋) 안내문
▲낙서재(樂書齋) 주차장
멀리 안내 간판이 보인다.
앞에서 윤선도 원림에서 준 입장권을 보여 주고 들어가면 된다.
▲곡수당(曲水堂)
아늑한 분위기가 느껴진다.
왜 고산이 이곳을 좋아했는지 알 것 같다.
▲낙서재(樂書齋)
▲낙서재(樂書齋)
▲낙서재(樂書齋)
낙서재는 고산이 1637년 세상을 등지고 은둔 생활을 위해 제주도로 향하던 중 이곳의 자연경관에 매료돼 13년을 생활하다가 1671년 돌아가실 때까지 살았던 집이다.
이곳에서 강학하고 독서하면서 은둔 생활을 했다.
처음에는 모옥(矛屋 : 띠나 이엉 따위로 지붕을 만든 집)으로 지었다가 후손들이 기와로 바꾸었다.
▲사당(祠堂)
고산이 낙서재 (樂書齋)에서 돌아가신 후 이곳에서 얼마간 초장(初葬)을 지냈던 곳이다.
참 좋은 명당자리이다.
▲곡수당(曲水堂)과 서재( 書齋)
▲서재( 書齋)
경학(經學)을 위한 건물로 학유공 정유약, 심진사단, 학관 등 여러 사람이 고산에게 배우던 곳이다.
▲상연지
▲상연지
▲곡수당(曲水堂)
곡수당(曲水堂)은 고산의 아들 학관이 거주하며 휴식을 취할 목적으로 조성한 집이다.
▲하연지
이곳의 지형은 누가 봐도 반할 정도의 풍광이다.
고산 윤선도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낙서재(樂書齋)와 곡수당(曲水堂)을 뒤로하고 발걸음을 옮긴다.
#낙서재 #곡수당 #보길도
'한국의 산하 > 전라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남 노화도 동천항에서 완도 화흥포 뱃길 운임 및 운행시간표 (1) | 2024.04.24 |
---|---|
전남 보길도, 망끝전망대 공룡알 해변 (1) | 2024.04.20 |
전남 보길도, 고산 윤선도 원림 세연정(洗然亭) (4) | 2024.04.18 |
전남 진도, 진도타워. 땅끝항에서 보길도 배편운항시간표 운임정보 (2) | 2024.04.17 |
전남 진도, 송가인 마을 (0) | 2024.04.16 |
글에 남긴 여러분의 의견은 개 입니다.